치아건강과 교정치료 알아보기

교정 중 이갈이 문제 – 원인과 해결책 총정리 | 아너스교정치과

KH.C 2025. 5. 20. 07:30

교정 중 이갈이가 발생할 수 있는 이유와 관리 방법을 정리했습니다.
턱관절 부담을 줄이고 교정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전 팁을 확인해보세요.


교정 중 이갈이, 방치하면 치료 결과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

“교정하고 나서 밤에 이를 더 갈게 된 것 같아요.”
실제로 치아교정 중 이갈이(Bruxism)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적지 않습니다.
오늘은 교정 중 이갈이가 왜 생기는지, 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, 그리고 실질적인 대응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.


이갈이란 무엇인가요?

이갈이는 의식 없이 무의식적으로 이를 꽉 물거나 문지르는 습관으로, 주로 수면 중에 발생하지만, 깨어 있는 동안에도 스트레스나 긴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이갈이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아침 기상 시 턱이 뻐근하고 무거운 느낌
  • 치아 마모 또는 깨짐
  • 턱관절 통증 또는 귀 앞 통증
  • 동반된 두통이나 목, 어깨 통증
  • 교정장치의 자주 반복되는 파손

교정 중 이갈이가 생기는 원인

원인 설명
교합 변화 치아의 위치가 바뀌면서 턱의 닫힘 위치가 낯설어짐
불편감과 긴장 장치로 인한 이물감이나 초기 통증이 원인
심리적 요인 교정 기간 중 외모 변화나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
기존 이갈이의 악화 기존에 있던 이갈이가 교정 자극으로 강화될 수 있음¹

주의: 이갈이를 방치하면 교정 장치 손상뿐 아니라 치아 뿌리 흡수, 턱관절 장애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².


교정 중 이갈이의 영향

  • 장치 손상: 와이어 휘어짐, 브라켓 탈락
  • 치아이동 지연: 지속적인 교합 압력이 치아이동을 방해
  • 턱관절 통증 유발: 이갈이로 인한 과부하가 TMJ(턱관절) 부담 증가
  • 치아 마모 및 균열: 특히 앞니나 송곳니에서 마모 현상이 나타남
  • 전체 교정 기간 연장: 반복된 장치 조정으로 계획한 치료 시간이 늘어남

이갈이 완화를 위한 실전 팁

방법 효과
나이트가드 착용 수면 중 치아 압력 분산
교정장치 조정 교합 간섭이 있는 경우 와이어 및 어태치먼트 수정
스트레스 관리 이완요법, 규칙적인 수면, 긴장완화 운동
턱 스트레칭 & 온찜질 근육 긴장 완화 및 통증 감소
카페인 줄이기 과도한 자극성 음료는 수면 중 이갈이 유도

 


아너스교정치과의 이갈이 대응 시스템

  • 치료 전 이갈이 이력 확인 및 설문 평가
  • 교정 초기 1~2개월간 이갈이 패턴 집중 모니터링
  • 필요 시 나이트가드, 미니 스플린트 제공
  • 치과 내 스트레칭·턱 운동 지도 및 가정용 스트레칭 가이드 제공
  • 턱관절 전문의 협진 연계 가능 (필요 시)

언제 병원을 찾아야 할까요?

  • 아침에 턱 통증이 반복된다
  • 교정장치가 자주 부서지거나 떨어진다
  • 이갈이 소리를 가족이 자주 들었다고 한다
  • 앞니가 닳거나 깨지는 양상이 관찰된다
  • 교정 진도가 예상보다 늦어진다

이러한 경우는 전문적인 검진과 조정이 필요합니다. 단순히 참고 넘어가면 장기적인 교정 결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

결론 – 이갈이는 단순한 습관이 아닙니다

교정 중 이갈이는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지만, 그 영향력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.
교정 장치의 손상, 턱관절의 부담, 치아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는 요소인 만큼, 초기 인지와 적극적인 대응이 핵심입니다.
아너스교정치과는 교정 치료 전·중·후에 걸쳐 환자의 습관과 기능까지 함께 관리합니다.
조용한 밤의 이갈이도, 치열만큼이나 중요한 치료 대상임을 기억하세요.


문의 · 예약
☎ 02-2602-7222 | 서울 강서구 강서로 242, 강서힐스테이트상가 3층


참고 문헌

  1. Manfredini D et al. “Sleep bruxism and orthodontic treatment.” Angle Orthod. 2013.
  2. Proffit WR et al. Contemporary Orthodontics. 6th ed. 2018.
  3. Lobbezoo F et al. “Bruxism defined and graded: an international consensus.” J Oral Rehabil. 2013.